웹개발

AWS EC2 생성 및 연결 확인_Ubuntu

jjnll 2022. 8. 8. 15:42

Redhat8로 하던걸  Ubuntu로 바꾸고 싶어져서 바꿔서 진행하는데

ssh에러가 뜨길래 그냥 전체 삭제하고 다시 진행했더니 잘 된다.

 

1) 우선 회원가입 하고,

2) 지역 설정하고(!! 중요 !! 지역별로 인스턴스 따로 생성 가능하기 때문)

3) 목적인 EC2로 들어가 인스턴스 클릭해 인스턴스 시작 누른다.

- 이름, OS Image, instance type, key pair, network, storage 세팅 하고 시작.

- 나는 Ubuntu 22.04(Jammy Jellyfish), Free tier 쓰기 위해 t2.micro, 만들어둔 RSA pem 키페어, SSH_HTTPs_HTTP 모두 되는 보안그룹, 30GB가 맥스라 혹시몰라 28GB 스토리지로 세팅했다.

 
 

인스턴스-인스턴스 들어가면 한 줄 추가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
Name / 인스턴스 ID / 인스턴스 상태 / 인스턴스 유형 / 상태 검사 / 경보 상태 / 가용 영역 / 퍼블릭 IPv4 DNS / 퍼블릭 IPv4  / 주소 / 탄력적 IP / IPv6 IP / 모니터링 / 보안 그룹 이름 / 키 이름 / 시작 시간

 

 

 

난 여기에 고정아이피 사용하기 위해 elastic IP를 추가해줬다.

네트워크 및 보안-탄력적 IP

처음에는 액셀레이터 누르는건가 했는데 무과금을 위해선 왠만하면 도전하지 않는 것이 좋다.

그냥 할당만 누르면 끝.

그 후 다시 탄력적 IP 들어가서 주황버튼 옆 작업 - 주소 연결 클릭하면 탄탄대로.

인스턴스 연결 클릭하면  bash 창 뜬다. 연결은 제대로 된 것.

 

 

Git Bash에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.

ssh -i /keypair_path/keypair_name.pem ubuntu@퍼블릭 IPv4 주소 치면

위에서 연결 눌렀을 때처럼 bash창 뜬다.

yes 타이핑 하면 서버 컴퓨터 접속 완료.

 

MobaXterm에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.(훨씬 간결해서 이걸 계속 이용할 예정)

Session-SSH

퍼블릭 IPv4 주소, [v] ubuntu

advanced SSH- Use private key - .pem파일 연결

bookmark setting 내가 보기 편한 이름으로 session name 지정

해당 세션 더블클릭시 연결된 창 바로 뜬다.

ubuntu로 유저지정을 해두어서 sudo를 이용해야 한다. 비번또한 pem이라 따로 지정해주어야 한다.

$ sudo passwd root
New password:
Retype new password:
passwd: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

처음 지정하는거라 순조롭게 지정 가능.

// Err
/usr/bin/xauth:  file /root/.Xauthority does not exist

나는 창 두개 켜져있어서 생긴 에러였다.
모든 창 다 끄고 모바엑스텀만 키면 에러 없이 잘 된다.

 

ubuntu서버에 들어는 왔지만 아무것도 깔려있지 않다.

필수적인 것들을 깔아보자

728x90